목록분류 전체보기 (174)
IT 기획의 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67Hq/btrf7sgZaOt/tWt4oOHMBdSXm0vN9S9yXk/img.png)
포트란? "논리적인 접속 장소"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를 사용할 때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상의 특정 서버 프로그램을 지정하여 사용합니다. 웹 브라우져(클라이언트)의 주소창에 접속하려는 도메인 주소(ex.www.daum.net)를 입력하고 엔터를 땅! 치면 다음 홈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주소창을 다시 확인해보면 내가 입력하지 않은 "https 또는 http"가 도메인 주소 앞에 붙어있습니다. HTTP와 HTTPS의 경우 지정된 포트 번호가 있는데 이런 것들을 "잘 알려진 포트들" "Well-known port"이라고도 합니다. HTTP는 80번, HTTPS는 443 포트로 접속하는 것으로 약속이 되어있습니다. 브라우저에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도메인에 해당하는 IP와 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fmsv3/btrgbKgxnT7/oWiuKcaVtjUuSQIvxyNm21/img.png)
1. PORT(포트), 넌 누구니? 먼저, 위키 백과에 나온 정의를 한 번 볼까요? 포트는 운영 체제 통신의 종단점이다. 이 용어는 하드웨어 장치에도 사용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다. 사용법 : URI 문법에 의해서 사용 및 표기할 수 있으며, IP 주소와 함께 표기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ftp://000.000.000.000:21 여기서 000.000.000.000은 IP 주소를 나타내며 : 다음의 21이 포트 번호를 의미한다. 정의라 그런지, 말이 좀 딱딱하죠? 아래에서 풀어서 이야기를 해보아요^^ 2. PORT(포트), 언제 사용될까? 포트(port)는 보통 항구나 공항(airport)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항구와 공항은 외부세계와 접속할 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WBHBr/btrgaAehp31/sstyqz6ShRt1G1iNJMbg00/img.png)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개요 시스템 오류로 인한 데이터베이스 중단이나 물리적인 손상 발생시 이를 복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복제하여 관리하는 것 ORACLE RAC(Real Application Cluster)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다른 인터페이스로 접속하더라도 같은 데이터를 조회하고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한다.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에서 변경된 데이터도 디스크를 거치지 않고 바로 조회할 수 있어 속도가 빨라졌다. 인터페이스에서 다른 인터페이스의 변경된 내용을 가지고 올 수 있는 기술을 Cache Fusion(캐시 퓨전) 이라고 한다. 인터페이스는 private Network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인터페이스의 작업은 물리적인 작업에 관계없이 작동하게 된다. SAN Network S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EClI/btrf7AFW9Qj/eKfRwcp7gGj1h9W3wRDC1K/img.png)
데이터베이스-서버와 클라이언트 우리가 웹서비스를 하는데 서버와 사용자가 있습니다 사용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요청하고 서버는 요청받는 자료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도 마찬가지 입니다 데이터베이스도 마찬가지 입니다 DBMS는 저장, 수정, 삭제, 정의, 관리를 하는 서버이고, 데이터베이스에 요청해서 여러가지 명령을 하거나 데이터를 체크하거나 그러한 것들을 하는것이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라고 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DBMS)는 대표적으로 MySQL, MSSQL, Oracle 등이 있다.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에서는 MySQLadmin, SQLyog 등등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근하여 서버를 제어할수 있습니다 현재 PC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하여 우리가 데이터를 작성하고 저장할수 있죠? 그리고 ..
백업: 원본이 손상되거나 잃어버릴 경우를 대비하여 원본 자료를 미리 복사하는 과정 이중화: CPU가 2개인 시스템 구성으로 한쪽 CPU에 장애가 발생해도 나머지 CPU에 제어를 옮겨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이중화의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보겠다. 하드웨어 장비가 하나 있다. 하드웨어 장비에 윈도우 서버를 설치하고 sql 서버를 설치하고 그 다음에 에플리케이션으로 ERP를 구축하였다. 분리해서 설치해도 되지만 일단 가정이니 만큼 한 대에 모든 서비스를 다 설치했다고 가정한다. 근데 하드웨어 장비에 전원이 불량이 났다. 당연히 서버가 운용되지 않을 테니 서비스가 멈추고 ERP를 통한 업무를 지속 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은 일을 방지 하기 위해서 전원 공급 장치를 한개가 아닌 두개로 운영해야한다. 그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0TZqA/btrfWMmKCHe/BP7RtKt0ssShr6JqrokhIK/img.jpg)
가상화의 종류는 3가지로 분류한다. 첫째 : 호스트 O/S 형 호스트OS형은 물리적 하드웨어위에 OS를 설치해, 그 위에 가상화 소프트웨어와 가상머신을 움직이는 방식이다. 즉, 물리 머신위에 직접동작하는 OS를 “Host OS”라한다.(일반 PC) 또한, 이 Host OS위에서 동작하는 가상화 머신에 설치된 O/S를 “Guest OS”라 부른다. 이에 대한 소프트웨어는 이하와 같다. VMware Workstation Microsoft Virtual PC VirtualBox 둘째 : 하이퍼바이저 형 하이퍼바이저형은 Host OS를 필요로 하지않는 타입의 가상화방식이다. 하이퍼바이저라는 소프트웨어를 물리 하드웨어위에 직접움직여, 하이퍼바이져 위에 개개의 가상머신을 움직이게한다. 하이퍼바이저형의 특징은, 가상..
클라우드 컴퓨팅: 인터넷을 거쳐서 제공되는 컴퓨터 자원을 이용하는 것 SaaS: software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로 제공한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 실행(개발) 환경을 서비스로 제공한다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시스템 인프라(하드웨어)를 서비스로 제공한다 그중에서도 IaaS에 대해 알아보겠다. IaaS의 특징 1. 사내에 물리 서버를 두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리 서버를 관리하는 엔지니어가 필요 없다. 2. 이용 신청을 하면 단기간에 운영체제가 설치된 상태(서버+운영체제)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3. 사내에 물리 서버를 두지 않으므로 물리적 제약을 의식하지 않고 이용하고 싶은 만큼 서버를 증강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JIA8/btrfG15ZQLL/b3CruNGtWs1xAJ07Vw4G1k/img.jpg)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의 역할 1. 시스템 자원(System Resource) 관리자 여기서 시스템 자원이라는 것은 컴퓨터 하드웨어라고 보면 쉽다. 이런 시스템 자원들은 자신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으며 이런 것들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가 OS이다. 예를 들어, - CPU(중앙처리장치) => 각 프로그램이 얼마나 CPU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없다. 이를 해주는 것이 OS이다. - Memory(DRAM, RAM) => 각 프로그램이 어느 주소에 저장되어야 하는지, 어느 정도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해주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없다. 이를 해주는 것이 OS이다. - I/O Devices(입출력장치): Monitor, Mouse, Keyboard, Network => 스스로 표시, 작..
가상화란? 한 대의 물리 서버에는 보통 하나의 운영체제만 가동할 수 있다. 반면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면 한 대의 물리 서버에서도 여러 개의 게스트 운영체제를 가동할 수 있다. 이것을 서버 가상화라고 부른다. 가상화 환경에서는 물리 서버가 제공하는 CPU, 메모리, 네트워크,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각 게스트 운영체제에 자유롭게 할당한다. 여러 운영체제마다 물리 서버를 준비하는 것과 비교했을때, 한 물리 서버의 하드웨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가상화를 잘 이용하면 비용을 많이 줄일 수 있다. 물리 서버와 가상 서버의 특징 물리 서버 CPU 사용률과 디스크 I/O 부하, 디스크 사용 용량이 많은 용도에 적합하다. 주된 용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이다. 가상 서버 CPU 사용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2Z1ES/btrfQFsMumd/2LybzWJrnbN7FLL589W4kK/img.png)
하드디스크의 종류 HDD란? 하드디스크라는 말...어디서 많이 들어 보시지 않았나요?? 컴퓨터를 아무리 모르는 사람이라도 하드디스크라는 말을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겁니다. 그럼 도대체 하드디스크가 무었 일까요?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하드디스크는 HDD라고도 불리는데 HDD는 Hard Disk Drive를 줄임말로 HDD와 하드디스크는 둘다 같은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거의 대부분의 하드디스크는 이런 모양으로 생겼으며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드디스크는 램(RAM)과는 달리 전원이 나가도 데이터가 날라가지 않는 비휘발성메모리라고도 합니다. 하드디스크는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하드디스크가 고장이 나게 되면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하드디스크는 관리가 중요합니다 S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