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획의 길
백업과 이중화의 차이 본문
백업: 원본이 손상되거나 잃어버릴 경우를 대비하여 원본 자료를 미리 복사하는 과정
이중화: CPU가 2개인 시스템 구성으로 한쪽 CPU에 장애가 발생해도 나머지 CPU에 제어를 옮겨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이중화의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보겠다.
하드웨어 장비가 하나 있다.
하드웨어 장비에 윈도우 서버를 설치하고 sql 서버를 설치하고
그 다음에 에플리케이션으로 ERP를 구축하였다.
분리해서 설치해도 되지만 일단 가정이니 만큼 한 대에 모든 서비스를 다 설치했다고 가정한다.
근데 하드웨어 장비에 전원이 불량이 났다.
당연히 서버가 운용되지 않을 테니 서비스가 멈추고 ERP를 통한 업무를 지속 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은 일을 방지 하기 위해서 전원 공급 장치를 한개가 아닌 두개로 운영해야한다.
그래서 하나의 전원공급장치가 불량 나더라도 다른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가 전원을 원할히 공급 하도록 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정전이 되었다면...
전원 공급장치를 두 대로 이중화 되어 있다 하더라도 궁극적으로 전원이 공급이 안되니 서버는 멈추게 된다.
이런 불행을 막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UPS라고 하는 정전 시 발전기를 가동 시켜 전원이 단 몇분이라도 공급 되도록 하는 장치를 둬서 정전에 대비 해야한다
서버 이중화, DB 이중화의 개념도 위와 같다.
하드웨어 장비의 불량이던지 여러 장애 발생으로 하드웨어 장비의 운용이 더 이상 어려울때
하나의 장비를 더 두어서 그 장비로 응급 하게 나마 서비스를 지속 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한마디로 이중화 솔루션의 역할은 하드웨어 장비의 고장으로 인한 서비스 중단을 막기 위한 수단이다.
참고로 백업과 이중화 중에서 선택을 해야한든 상황이 온다면
백업과 이중화 중에서 백업을 우선순위로 구성한 후 이중화를 준비하는게 좋다.
'IT 인프라 >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서버 공부] DB서버 (0) | 2022.07.19 |
---|---|
[Windows 서버 공부]가상머신과 VMware (0) | 2022.07.19 |
가상화[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0) | 2021.09.23 |
하드디스크[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0) | 2021.09.23 |
메모리[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0) | 2021.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