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인프라 (109)
IT 기획의 길

IT기획일을 하다보면 인프라 지식을 많이 알고 있어야한다. 근데 이 인프라 지식은 너무나 방대하고 잘 까먹기 쉽다. 너무 너무 잘 까먹는다. 심지어 공인 IP가 무엇인지 사설 IP가 무엇인지도 개념이 가물가물할때가 있다. 이럴때 보면 내가 늙어서 기억을 못하는건지(아직 20대지만..) 인프라 영역이 어려운건지 현타가 오고는 한다. 어째든 나만의 인프라 총정리 시리즈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인프라 관련해서 다양한 게시글이 있는데 그 게시글들을 언제 다 복습하고 앉아있냐 이것만 보게끔 할 수 있게 만들어보려고 한다. 1편 서버 Keyword1 서버 : 서버는 일반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메인보드,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보통 24시간 가동하는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일반 컴퓨터에 비해 ..

CDN CDN(Content Delivery Network or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CDN이 뭐야?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왜 쓰는거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콘텐츠 병목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cloudFront도 CDN의 일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cloudFront이 CDN으로 제공해주는 컨텐츠 Downlad Distribution :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일반적인 이미지 혹은 정적 파일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Streaming Distribu..

Auto Scaling Auto scaling이란? EC2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시작하거나 종료하여 애플리케이션 로드를 처리하기 위해 적절한 수의 EC2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최소 인스턴스 수, 최대 인스턴스 수를 지정할 수 있음 역할 사용자가 정의하는 조건에 따라 EC2 갯수를 자동으로 확장 또는 축소가 가능함 모니터링을 통해 비정상 인스턴스를 탐지하고 교체할 수 있음 수요가 급증할 경우 EC2 수를 자동으로 늘려 성능을 유지하고 수요가 적을 경우 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 ELB 대상 그룹을 Auto Scaling Group(ASG)에 포함시켜 자동 생성된 EC2로 하여금 트래픽 분산을 하도록 설정 가능 수요 변화가 예측 가능한 경우 예약된 일정 을 통해 늘리거나 줄이도록 설정 가능 ASG 내 ..

AWS 로드 밸런스(ELB) Elastic Load Balancing AWS에서 제공하는 로드 밸런싱 기술 ELB는 AWS의 VPC(Virtual Private Network)에 탑재되며,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이를 VPC 내의 리소스에 적절히 부하 분산 일반적으로 최소 2개의 AZ 사용(복수의 가용영역으로 고가용성 보장)하며 사용자는 Route 53을 통해서 도메인 주소로 접근한다. ELB의 구분 Internet LB 공인 IP, 사설 IP 둘다를 가지고 있음 외부에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함 외부 사용자들의 접근을 위한 웹서버를 부하 대상으로 삼아 구성 Internal LB 사설 IP만 가지고 있음 내부에서만의 접근만 허용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부하대상으로 삼아 구성 리스너(Listener)와 대상그룹(T..

로드 밸런서란 무엇인가? 로드 밸런서의 필요성 서버의 역할 Server는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응답해주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한두명이 아니라 수천만명이라면? 서버는 과부하가 걸려, 동작을 멈추게 될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Scale-up : Server가 더 빠르게 동작하기 위해 하드웨어 성능을 올리는 방법 Scale-out : 하나의 Server 보다는 여러 대의 Server가 나눠서 일을 하는 방법 Scale-out 이 가지는 장점 하드웨어 향상하는 비용보다 서버 한대 추가 비용이 더 적습니다. 여러 대의 Server 덕분에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Scale-out을 하게 되면 여러 서버에 균등하게 역할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Load..

web server 웹브라우저(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HTML 문서와 같은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정적 컨텐츠란? 요청 인자 값에 상관없이 달라지지 않는 컨텐츠(html, css, image ...) 어느 사용자 요청이든 항상 동일한 컨텐츠 웹서버의 기능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을 수 있다 정적 컨텐츠 요청 시 정적 컨텐츠(html, jpeg, css ...) 를 제공할 수 있다 동적 컨텐츠 요청 시 Web Application Server(WAS)로 전달하여 WAS 가 처리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달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 DB 조회나 다양한 로직처리를 요구하는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 동적컨텐츠란? 요청 인자에 따라 바뀔 수 있는 컨텐..

Cloud DB Cloud DB의 변천사 EC2 에 배포 세부사항까지 개발자가 직접 구성할 수 있으나, 그만큼 작업량이 많아짐 RDS 로 배포 개발자는 확장/증설과 애플리케이션 최적화만 신경쓰면 되도록 함 적절한 시기에 서버를 증설해주지 않는다면, 서버가 터질 수 있음 Serverless 로 배포 애플리케이션이 최적화만 신경쓰면 됨 서버리스 DB 특징 서버 및 클러스터 관리 전혀 필요 없음 사용량에 따라 자동을 확장 가능 고 가용성 및 자동 장애 복구 지원 컴퓨팅 사용량 기준으로만 과금 AWS 서비스 종류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Amazon Aurora 클라우드를 위해 구축된 MySQL 및 PostgreSQL 호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1/10의 비용으로 상용 데이터베이스 수준의 성능 및 가용성 제공 ..

Database와 Storage의 차이점 대해서 알아보자 Database 데이터베이스는 체계적인 데이터 모음으로 데이터 저장 및 조작을 지원한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더욱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것이 데이터베이스 서버라고 생각하면 된다. Storage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으로, 하드디스크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다.(비휘발성 기억장치) 스토리지는 직접 서버에 연결할 수 있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리지용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도 있다. Storage에도 종류가 다양하며(DAS/NAS/SAN), 연결방식 등에 의해 구분된다. 스토리지는 하드웨어 기반의 장비이기 때문에 장비의 성능에 따라 혹은 안정성에 따라서 성능이 좌지우지된다. 차이..

AWS 스토리지 서비스 스토리지 타입 어떤 곳에 사용하는게 좋은가? Block Storage : 호스트에서 직접 파일을 액세스하고 기록하며 빠른 성능을 요하는 경우 File Storage : 여러대의 서비스들이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유에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 Object Storage :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는 앱 컨텐츠로 사용되어야 하거나 다수의 서버에서 해당 데이터에 접근 해야 하는 경우 File EFSObject S3Block EBS 퍼포먼스 작업별 대기 시간 낮음, 일관됨 낮음, 여러 요청 타입 처리, CloudFront와 통합 가장 낮음, 일관됨 처리량 크기 초당 GBs 초당 GBs 초당 GB 특성 가용성 / 내구성 (availability, durability) 여러 AZ에 중복 저장 여..

스토리지 시스템이란? 단일 디스크로 처리할 수 없는 용량을 저장하기 위해 디스크를 묶어서 논리적으로 사용하는 기술 스토리지 구성은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방법 왜 필요한가? 데이터의 양적 팽창이 급증함에 따른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 및 관리 필요 기업의 정보(Information) 자원을 이용한 새로운 비지니스의 창출 ERP, DW, Data Mining 등의 Application 등장 스토리지 시스템의 요구조건 통합 관리를 통한 대용량, 고속 데이터 처리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 (공유, 분배, 보안 강화) 확장성, 유연성, 서버 접속의 용이성 스토리지 시스템 종류 스토리지 시스템 종류 DAS(Direct-attached storage) 서버와 저장 장치를 직접 연결 NAS (Network att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