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인프라/서버 (9)
IT 기획의 길

IT기획일을 하다보면 인프라 지식을 많이 알고 있어야한다. 근데 이 인프라 지식은 너무나 방대하고 잘 까먹기 쉽다. 너무 너무 잘 까먹는다. 심지어 공인 IP가 무엇인지 사설 IP가 무엇인지도 개념이 가물가물할때가 있다. 이럴때 보면 내가 늙어서 기억을 못하는건지(아직 20대지만..) 인프라 영역이 어려운건지 현타가 오고는 한다. 어째든 나만의 인프라 총정리 시리즈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인프라 관련해서 다양한 게시글이 있는데 그 게시글들을 언제 다 복습하고 앉아있냐 이것만 보게끔 할 수 있게 만들어보려고 한다. 1편 서버 Keyword1 서버 : 서버는 일반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메인보드,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보통 24시간 가동하는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일반 컴퓨터에 비해 ..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는 서버를 데이터베이스 서버(DB 서버)라고 하며 DBMS는 데이터베이스라는 데이터의 집합을 만들고 저장 및 관리까지 할 수 있는 기등들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즉 데이터의 관리에 특화된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종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서버까지 지원하기도 한다. DBMS의 종류 : Oracle, MySQL, MariaDB 네이버에 로그인한다고 가정했을때 네이버 웹 브라우저(웹 클라이언트)에서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네이버 웹서버를 통해서 DB연결자를 거치고 네이버 DB서버에 접속해서 네이버 회원 테이블을 찾아본 결과 정보가 같으면 로그인이 허용되고 같지 않으면 로그인이 허용되지 않는다. 웹서버와 DB서버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개발툴(Visaul C#, Java, Vi..

가상머신(Virtual Machine) : 가상 머신을 사용하면 현재 사용하는 Windows를 변경 없이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여러대의 Windows Server를 운영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가상머신 소프트웨어 : 진짜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호스트 OS)안에 가상의 컴퓨터를 만들고 그 안에 또 다른 운영체제(게스트 OS)를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제작된 소프트웨어 진짜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윈도우 -> 호스트 운영체제(게스트 OS) 가상머신에 설치된 윈도우 -> 게스트 운영체제(게스트 OS) 가상머신을 쉽게 가짜 컴퓨터로 생각해도 좋다. 원래는 CPU, RAM, 하드디스크 등이 있는 진짜 컴퓨터에만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는데 가상머신 프로그램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가짜 CPU, 가짜 RAM, 가짜..
백업: 원본이 손상되거나 잃어버릴 경우를 대비하여 원본 자료를 미리 복사하는 과정 이중화: CPU가 2개인 시스템 구성으로 한쪽 CPU에 장애가 발생해도 나머지 CPU에 제어를 옮겨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이중화의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보겠다. 하드웨어 장비가 하나 있다. 하드웨어 장비에 윈도우 서버를 설치하고 sql 서버를 설치하고 그 다음에 에플리케이션으로 ERP를 구축하였다. 분리해서 설치해도 되지만 일단 가정이니 만큼 한 대에 모든 서비스를 다 설치했다고 가정한다. 근데 하드웨어 장비에 전원이 불량이 났다. 당연히 서버가 운용되지 않을 테니 서비스가 멈추고 ERP를 통한 업무를 지속 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은 일을 방지 하기 위해서 전원 공급 장치를 한개가 아닌 두개로 운영해야한다. 그래..
가상화란? 한 대의 물리 서버에는 보통 하나의 운영체제만 가동할 수 있다. 반면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면 한 대의 물리 서버에서도 여러 개의 게스트 운영체제를 가동할 수 있다. 이것을 서버 가상화라고 부른다. 가상화 환경에서는 물리 서버가 제공하는 CPU, 메모리, 네트워크,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각 게스트 운영체제에 자유롭게 할당한다. 여러 운영체제마다 물리 서버를 준비하는 것과 비교했을때, 한 물리 서버의 하드웨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가상화를 잘 이용하면 비용을 많이 줄일 수 있다. 물리 서버와 가상 서버의 특징 물리 서버 CPU 사용률과 디스크 I/O 부하, 디스크 사용 용량이 많은 용도에 적합하다. 주된 용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이다. 가상 서버 CPU 사용률..

하드디스크의 종류 HDD란? 하드디스크라는 말...어디서 많이 들어 보시지 않았나요?? 컴퓨터를 아무리 모르는 사람이라도 하드디스크라는 말을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겁니다. 그럼 도대체 하드디스크가 무었 일까요?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하드디스크는 HDD라고도 불리는데 HDD는 Hard Disk Drive를 줄임말로 HDD와 하드디스크는 둘다 같은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거의 대부분의 하드디스크는 이런 모양으로 생겼으며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드디스크는 램(RAM)과는 달리 전원이 나가도 데이터가 날라가지 않는 비휘발성메모리라고도 합니다. 하드디스크는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하드디스크가 고장이 나게 되면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하드디스크는 관리가 중요합니다 SSD..

메모리 메모리는 단기 기억 장치라고 불리며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지만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데이터가 모두 지워진다. 메모리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최근에는 DDR3 SDRAM이 주류이다. 성능 메모리의 속도는 메로지 자체의 속도와 CPU와 각종 버스 간의 데이터 전송폭을 모두 고려한다. 보통 DDR3 메모리는 DDR3-1600처럼 표기한다. 1600은 데이터 전송 속도로 1600MHz로 동작한다는 것이다. 메모리 용어 슬롯 메모리는 메인보드에 꽂는다. 슬롯은 메인보드에 있는 메모리 삽입구를 말한다. 즉, 메모리 슬롯이 8개인 서버는 메모리를 8개 삽입할 수 있다 일반 컴퓨터의 메모리 슬롯은 보통 몇개 정도지만 최근에는 IU 서버에서도 수십 개나 되는 슬롯이 있는 서버가 등장했다. ECC 메..

CPU는 연산을 대량으로 빠르게 처리하는 장치로 사람으로 말하면 두뇌에 해당한다. CPU는 연산 능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고성능 CPU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멀티코어나 멀티스레드와 같은 방식을 이용해서 하나의 CPU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연산의 개수를 늘려서 연산 능력의 향상을 하고 있다. CPU 용어 소켓 수: CPU의 개수 코어 수: CPU의 주요 계산 부분, 복수의 코어가 있는 것을 멀티코어 라고 한다. 스레드 수: 하나의 코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수 동작 주파수: 1초당 클러 수, 동작 주파수가 높을수록 처리 속도가 빨라지지만 전력 효율이 나빠지고 발열도 증가한다. 캐시: CPU와 메인 메모리 사이에 캐시 메모리라는 빠른 속도의 메모리가 있다. 캐시 메모리에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를 저장해서 상..
서버 01 서버의 종류 랙 마운트형 서버와 타워형 서버의 차이 랙 마운트형 서버 -> 데이터 센터나 서버 룸에 설치된 랙 안에 들어간다. 랙 마운트형 서버는 19인치 랙에 수용된다. 19인치 랙에 탑재하는 기기는 1U, 2U처럼 유닛 단위로 사이즈가 정해져 있다. 1U는 높이가 1.75인치다(44.45mm)다. 엔트리 서버는 1U 사이즈가 많지만 미들레인지 서버 이상은 탑재할 수 있는 부품이 늘어나므로 2U 사이즈 이상인 서버가 많다. 타워형 서버 -> 사내 서버 룸에 설치되거나 사무실 또는 점포등에 설치된다. 엔트리, 미들레인지, 하이엔드 서버 1. 엔트리 서버 수십만 엔에 이름 주로 웹 서버나 에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이용됨 보통 1~2개의 CPU를 탑재할 수 있는 서버를 가리킴 2. 미들레인지 서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