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기획/SAP ERP (10)
IT 기획의 길
SAP S/4 HANA는 S/4 HANA DB를 사용하는데 이 DB는 In-Memory 방식을 이용하여 기존의 하드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 아닌 메모리에 다량의 데이터를 올려놓고 서비스를 수행한다. 따라서 클라우드 방식에 더 적합하다. SAP를 Cloud에 도입하기 전에 Cloud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자 그렇다면 클라우드로 SAP를 도입하게 되면 얼마나 가격이 쌀까? ERP 투자 비용 산정 예시 On-premise 1. 구축기간 : 4개월 ~ 6개월 2. 투자항목 : 2.1 SAP User License DB :사용자 수에 따른 유저 라이선스 비용 2.2 SAP MA 17% : SAP User License가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고 기능이 보강되면서 발생하는 비용 2.3 H/W 및 S/W :..
PP(Production Planning)모듈은 의미 그대로 물건을 생산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담고 있다. PP모듈은 전체 구조에서 Plant를 담당한다. 계층을 보자면 client-company-plant-storage location 순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다시 참치집을 운영한다고 가정을 하고 PP모듈을 보자 식자재가 도착하여 식자재 창고에 보관을 하고 있다. 그런데 사장은 복층 구조의 가게를 운영하고 있어 1층과 2층에 각각 주방을 갖고 있다. (pp 모듈에서는 한 회사에서 종속된 생산공장을 plant라고 하며 정보를 연결하는 기준이 된다.) 1층에서 바로바로 오는 손님을 대응하여 주문을 받는 형식으로 운영이 되고(MTO, Make To Order) 2층에서는 예약 주문제로 미리 해동한 참리를..
SAP MM(Material Management) 모듈은 자제에 대한 부분을 관장하는 모듈이다. SAP에서 말하는 자재는 우리가 실무에서 흔히 사용하는 원자재, 반제품, 완제품, 상품을 모두 포함하는 단어이다. 실무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MM이 관장하는 부분은 자재의 구매, 재고 수불의 관리이다. 완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원부자재의 발주와 창고로의 입고, 출고 그리고 자재대금의 송금까지를 그 영역으로 본다. 1. MM structure MM에서 중요하게 봐야 할 조직은 Purchasing Oraganization과 Storage Location이다. 위 구조에서 볼 수 있듯 하나의 구매조직에 여러개의 Company code를 할당 할 수 있다. 다른 회사 코드를 가지고 있어도 같은 구매 조직을 가질..
MM모듈의 주 업무 영역은 자재구매/관리이다. 이 모듈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를 꼽으라고 한다면 Material master이다. 자재에 대한 모든 것은 바로 MM에서 정의 된다고 보면 된다. 여기서 말하는는 자재란 완제품,반제품 등 모든 형태가 있는 것들을 자재로 부른다. 그 다음은 저장 위치(Location)다. 자재가 어느 곳에 저장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 공장에 원자재 창고, 이천에 물류창고가 존재한다고 했을 경우 서울 원자재 창고는 1000번, 이천 물류 창고는 2000번 이라는 인식코드를 사용하여 자재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준다. 이와 연결되어 이동유형을 정의하게 된다. 자재업체에서 구매하여 입고를 시켰을 경우는 101, 기타입고를 통한 입고는 901과..
1. 고객 마스터 생성(Create New Customer) ex) 자전거 회사의 고객(ex Bike Zone)를 생성 2. 고객 담당자 생성(Create Contact Person) ex) 해당 고객에 대한 고객 담당자(ex james) 생성 3. 고객으로 부터 문의를 받는다(Create Customer Inquiry) ex) 고객 Bike Zone은 Deluxe Touring Bike 5대, Professional Touring Bike 2대에 대한 견적을 요청한다. 4. 고객 견적 생성(Create Customer Quotation) ex) 고객 Bike Zone은 이전에 작성한 문의 항목에 대한 확정 견적을 원한다. 3번에서 만든 문의서를 토대로 견적이 생성된다. Bike Zone은 충성도가 높은..
SAP의 SD 모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D 모듈은 Sales and Distribution 의 약자로 제품의 수요 예측, 판매 계획 수립, 판매 지원, 판매, 출하/배송, 대금 청구, 판매 분석에 이르는 영업/판매 및 물류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SD 모듈 조직 구조 1. client : 시스템에서 가장 독립적이며 제일 큰 단위입니다. 2. company code : 합법적인 회계장부를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최소 단위 조직 - 법인 단위 3. credit control area : 여신관리 구역 : 고객에 대한 신용한도를 부여하고 모니터 함 한개 이상의 company code를 포함할 수 있음 4. sales organization : 영업 조직 : 특정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를 담당하는 조직..
기업의 주요 업무 영업 및 마케팅 업무 (Sales and Marketing) 마케팅 활동 관리 영업 활동 관리 유통 및 서비스 관리 고객 분석 마케팅 실행관리 수요 예측 및 판매계획 수립 판매 주문 관리 출하 유통 관리 매출 채권 관리 가격 관리 여신 관리 및 사후 서비스 관리 자재관리 업무 (Materials Management) 자재 계획 수립 구매 관리 자재 검수 및 입고 관리 창고 관리 재고 관리 자재이동관리 자재의 표준화 작업 생산활동 및 생산관리 업무 (Production Activity & Production management) 생산 계획 수립 생산 일정 계획 자재 소요량 계획 생산 능력 계획 생산 지시 및 생산 실적 관리 품질관리 및 설비보존관리 생산관리 + 운영관리 => 생산운영관리 ..
SAP ERP로 소프트웨어를 근간으로 기업의 정보시스템을 구축을 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절차와 세부적인 활동 계획이 필요하다. SAP에서는 ASAP라는 SAP ERP 시스템 구축 절차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ASAP ASAP(Accelerated SAP) - SAP에서 제시한 ERP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법론 1. 프로젝트 준비(Project Preparation) 단계 SAP ERP 시스템 구현을 위한 초기 계획 수립과 필요한 제반 사항을 준비하는 단계 프로젝트 계획 수립, 프로젝트 범위 및 목표 설정, 프로젝트 팀 구축 및 팀원들의 역할 및 책임에 대한 정의, 기술요구사항 정의, 프로젝트 킥오프(Kickoff), 프로젝트 팀원 교육 등 2. 비즈니스 상세 계획(Business Blueprin..
오늘 날 인터넷 및 웹 기술,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발전으로 정보처리를 위한 기술 구조를 다중계층구조(Multi-Tier)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화 되었지만, SAP ERP는 클라이언트/서버 기술의 초기버전인 SAP R/3때부터 3계층 구조(3-Tier) 구조를 기술구조로 채택하였다. 3계층 구조 SAP ERP 시스템의 기본적인 기술구조는 표현층, 응용층, 데이터베이스층의 3계층(3-Tier)으로 구성되어있다. 표현층(presentation layer) : 개인용 PC. SAP GUI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화면처리를 수행 응용층(application layer) : 실질적으로 업무로직 처리를 담당하는 계층. 일반적으로 별도의 중형 서버급 컴퓨터들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란 명칭으로 구성됨. 데..
경영 혁신과 ERP ERP - 기업 경쟁력 확보와 고객 만족을 위한 경영 혁신 도구 1990년대 초부터 시작된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는 매우 효과적인 접근법이었지만, 70%이상이 망했다. 이러저러한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실패 원인으로는 구현방법론의 모호성과 정보 기술 자원의 부족 등이었다. 다수의 기업들이 BPR 프로젝트에는 실패했지만 BPR프로젝트는 이들 기업에게 업무 재설계의 중요성과 경영혁신에 있어서 정보기술의 중요성을 각인시켰다. 이러한 BPR 실패에 근거하여 정보기술주도의 업무재설계를 통한 경영혁신기법이 ERP이다. 따라서 오늘날 기업들은 ERP를 경영혁신을 위한 도구로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전사적 자원관리, ERP(Enterprise 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