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인프라/기타 IT 인프라 지식 (7)
IT 기획의 길

배치프로그램이란? 이번시간은 배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배치란 무엇일까요? 또는 배치프로그램은 무엇일까요?? 우선 사전에 나온 배치에 대한 정의를 찾아보겠습니다. 일괄 처리(batch processing)란 컴퓨터 프로그램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자료를 처리하는 방식을 뜻한다. 초기의 일괄처리 방식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불가능했지만, 운영 체제가 발전함에 따라 프로그램 입출력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일괄 처리는 1950년대 전자 컴퓨팅 초기 시절 이후 메인프레임 컴퓨터와 함께하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바로 일괄처리 입니다. 개별적으로 어떤 요청이 있을 때마다 실시간으로 통신하는 것이 아닌 한꺼번에 일괄적으로 대량 건을 처리하는 것입니다. 특히 배치는 보통 정해진 특정한 시간..

Active Directory란 무엇인가? Active Directory는 회사 직원들의 계정 정보(ID, Password)와 컴퓨터에 대한 정보, 그리고 회사에서 강제하고자 하는 정책들(예를 들어 패스워드를 최소 8자리에 30일 마다 변경한다 든지, 컴퓨터를 5분이상 사용하지 않으면 화면 보호기가 실행된다 든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일종의 데이터베이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데이터베이스라고 하면 대부분 MSSQL이나 MySQL과 같은 것을 생각하십니다. Active Directory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와는 조금 다른 파일 타입의 데이터베이스이고, 암호화 되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장이나 텍스트 에디터로는 열어볼 수 없습니다. 참고로, Active Directory의 데이터베이스 파일..
API는 프로그래밍을 배우다 보면 언젠가는 듣게 되는 단어이며 프로그래밍을 배우지 않더라도 IT쪽에서 일을 하면 이곳저곳에서 들리는 단어인데, 정확한 뜻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입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각각은 많이 들어본 단어들이죠? Interface는 물건을 조작하기 위한 디자인을 뜻합니다. 이 디자인이라는 것은 키보드, 마우스, 리모콘처럼 단순히 물리인 형태만 뜻하는 것이 아니라 동작인식, 터치스크린처럼 해당기기를 작동하는 방식까지 포함합니다. 손가락 두개로 터치한 후에 벌려서 화면 확대, 혹은 더블 탭해서 화면 확대 등등이죠. Programming interface는 human interfac..

한 회사에서 여러시스템을 운영중이고, 각 시스템 계정을 별도로 관리하여 서비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시스템 계정을 모두 기억해야하고, 각 시스템에 별도로 로그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관리측면에서도 계정정보가 시스템마다 흩어져있어 회원 관리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SSO, SLO 를 도입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1. SSO란 SSO는 한번의 로그인으로 여러가지 다른 사이트들을 자동적으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계정정보가 시스템별로 존재하고, 공통인증모듈 하나만 존재 구현방법으로 SSO전용 오픈소스인 CAS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 OAuth2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OAuth 이란 API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진행하고, 유저가 인증되었을 때 Access Token..

기본적인거지만 머리속에 박히게 하기 위해 정리해본다 일단 client와 server 디비 스토리지는 다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있다고 보면된다 각 pc는 각자의 ip주소가 있고 그 안에서 포트번호에 따라 역할이 나뉜다 예를 들어서 내 pc의 ip주소가 127.0.0.1이면 mysql이라는 dbms의 포트번호가 3306이므로 웹서버의 포트번호가 80이므로 내 pc에 깔린 mysql의 ip주소는 127.0.0.1.3306이라고 보면되고 내 pc에 깔린 웹서버의 ip주소는 127.0.0.1.80이라고 보면 된다 자 이제 클라이언트 서버 디비에서 돌아가는 프로세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다 client에서 서버에 접속하려면 일단 ip주소를 알아야하는데 그 서버안에서 웹서버냐 dbms이냐 따라서 포트번호가 다르므..
1장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01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는 크게 1. 인프라 설계 2. 인프라 구축 3. 인프라 운영 세 단계로 나뉜다. 안프라 설계 절차 1. 인프라의 목적을 잘 이해한다. 2.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기능이나 성능 등을 조건을 기준으로 정리한다. 3. 그 조건에 맞는 기획서와 설계서를 작성한다 -> 어떤 인프라를 어느 정도의 비용으로 어느 정도의 기간 내에 만들 수 있는지 예상하는 작업 4. 기획서와 설계서가 완성되면 책임자에게 결재를 올린다. 인프라 구축 필요한 기능이나 스프트웨어 등을 발주해서 납품을 받으면 인프라 구축을 시작한다. 인프라 구축 작업은 인프라 엔지니어가 직접하거나 외부 업체에 맡긴다. 인프라 운영 구축한 IT 인프라는 가동 후에도 계속해서 ..

인프라 구성 요소 인프라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드웨어(Hardware, HW): 서버 장비 본체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전원 장치 등입니다. 넓은 의미에서는 이런 하드웨어를 설치하는 데이터 센터의 설비(건물, 공조, 보안 설비, 소화 설비 등)도 포함됩니다. 네트워크(Network) : 사용자가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서버를 연결하는 도구들입니다. 라우터, 스위치, 방화벽 등 네트워크 장비와 이를 연결하는 케이블 배선 등이 있습니다. 사용자가 단말에서 무선으로 연결할 때 필요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도 있습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기본적인 소프트웨어입니다. 리소스나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