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획의 길
가상화[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본문
가상화란?
한 대의 물리 서버에는 보통 하나의 운영체제만 가동할 수 있다.
반면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면 한 대의 물리 서버에서도 여러 개의 게스트 운영체제를 가동할 수 있다.
이것을 서버 가상화라고 부른다.
가상화 환경에서는 물리 서버가 제공하는 CPU, 메모리, 네트워크,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각 게스트 운영체제에 자유롭게 할당한다. 여러 운영체제마다 물리 서버를 준비하는 것과 비교했을때, 한 물리 서버의 하드웨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가상화를 잘 이용하면 비용을 많이 줄일 수 있다.
물리 서버와 가상 서버의 특징
물리 서버
CPU 사용률과 디스크 I/O 부하, 디스크 사용 용량이 많은 용도에 적합하다.
주된 용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이다.
가상 서버
CPU 사용률과 디스크 I/0 부하, 디스크 상용 용량이 적은 용도에 적합하다 .
가상 서버의 주된 용도는 웹 서버, 개발 서버, 메모리 DB 등이다.
물리 서버를 가상화할 때의 장점과 단점
장점
1. 비용을 줄일 수 있다.
2. 게스트 운영체제의 하드웨어 자원을 쉽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3. 물리 서버는 하드웨어가 노후화 되므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하드웨어를 교체해야 한다. 하지만 게스트 운영체제는 다른 새로운 물리 서버에 가상화 환경을 준비한 다음 간단히 옮길 수 있다.
단점
1. 다른 게스트 운영체제가 하드웨어 자원을 많이 사용하면 다른 게스트 운영체제의 동작이 불안정해진다.
2. 한 번 만들어진 게스트 운영체제는 이후에 사용하지 않아도 삭제되지 않고 그대로 남기가 십상이다.
가상화 모델
가상화를 구현하려면 하드웨어 자원 및 게스트 운영체제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윈도우와 리눅스 같은 일반 운영체제에 게스트 운영체제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가상화하는 방식을
'호스트 운영체제 타입'이라고 부른다. <--> 반대되는 가상화 방식: 하이퍼 바이저 타입
'IT 인프라 >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서버 공부]가상머신과 VMware (0) | 2022.07.19 |
---|---|
백업과 이중화의 차이 (0) | 2021.09.27 |
하드디스크[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0) | 2021.09.23 |
메모리[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0) | 2021.09.23 |
CPU[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0) | 2021.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