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74)
IT 기획의 길
컴퓨터와 컴퓨터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스위치, 라우터 등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들이 필요합니다. 참조: 네트워크의 구성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크 전 세계의 수많은 네트워크가 연결된 인터넷에서는 서로 다른 벤더(Vendor,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가 공급하는 다양한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들이 연결됩니다. 어떻게 서로 다른 제조업체가 만든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들이 호환성을 갖고 서로 연결되어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일까요? 프로토콜이란? 2명 이상의 사람들이 모인 사회에서는 서로 대화하고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합의된 규칙이 필요합니다. 서로 대화하기 위해 언어라는 규칙이 있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법과 같은 규칙이 있습니다...
IT란? IT의 핵심은 ① 네트워크를 통해 ② 컴퓨터와 컴퓨터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입니다. IT에 대해 자세히 → IT란? IT 핵심 네트워크의 구성 포스팅에서 살펴본 것처럼 네트워크는 유˙무선의 전송매체로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입니다. 네트워크의 구성 자세히 → 컴퓨터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3가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컴퓨터와 컴퓨터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부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는 컴퓨터를 '서버(Server)',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는 컴퓨터를 '클라이언트(Client)'라고 합니다. 컴퓨터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목적은 특정한 기능, 즉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름 그대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터넷을 발전시킨 3가지 요소 전 세계의 수많은 네트워크를 연결해 놓은 인터넷 덕분에 우리는 어제 어디서든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고,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언제 어디서든 SNS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일상에서 공기처럼 자연스럽게 컴퓨터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은 기술 발전 덕분입니다.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하면서 거대한 컴퓨터는 점점 소형화되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PC로 대중화되었고, 소규모 네트워크는 점점 거대한 네트워크가 되어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이 제공되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넷을 발전을 촉진시킨 3가지 요소 1. 컴퓨터의 발전 (ft. 인류 최고의 천재 폰 노이만) 1945년 인류 역사상 최고의 천재라 불리는 ..
LAN(랜) 특정한 좁은 지역, 즉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컴퓨터들을 연결한 네트워크를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근거리 네트워크)이라고 합니다. 집이나 사무실 등 지리적으로 제한된 곳에서 작은 규모로 컴퓨터를 연결할 때 LAN을 사용합니다. LAN 네트워크의 구성에서 등장한 랜카드, 랜포트, 랜 케이블의 랜이 바로 지금 설명하는 LAN을 의미합니다. LAN을 구축하는 것은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인 컴퓨터, 전송 매체, 네트워크 장비들을 필요한 만큼 연결하는 것입니다. 다른 말로 하면 랜포트나 무선 랜 인터페이스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춘 기기들을 랜 케이블이나 전파라는 전송매체로 연결한 것입니다. 따라서 PC 같은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랜포트를 갖고 있는 프..
컴퓨터 통신과 네트워크의 3가지 구성 요소 네트워크는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네트워크에서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보내고(송신) 데이터를 받는(수신) 것을 데이터 통신(Data Communication) 또는 컴퓨터 통신(Computer Communication)이라고 합니다. 컴퓨터 통신과 네트워크 구성 요소 3가지 과 같이 네트워크에서 ① 두 대 이상의 컴퓨터(컴퓨터 아이콘), ② 데이터가 이동하는 통로인 전송매체(화살표 아이콘), ③ 데이터의 이동을 돕는 네트워크 장비(클라우드 아이콘)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① 컴퓨터, ② 전송 매체, ③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됩니다. ① 컴퓨터 데이터 통신의 주체 - 애플리케이션 데이..
기본적인거지만 머리속에 박히게 하기 위해 정리해본다 일단 client와 server 디비 스토리지는 다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있다고 보면된다 각 pc는 각자의 ip주소가 있고 그 안에서 포트번호에 따라 역할이 나뉜다 예를 들어서 내 pc의 ip주소가 127.0.0.1이면 mysql이라는 dbms의 포트번호가 3306이므로 웹서버의 포트번호가 80이므로 내 pc에 깔린 mysql의 ip주소는 127.0.0.1.3306이라고 보면되고 내 pc에 깔린 웹서버의 ip주소는 127.0.0.1.80이라고 보면 된다 자 이제 클라이언트 서버 디비에서 돌아가는 프로세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다 client에서 서버에 접속하려면 일단 ip주소를 알아야하는데 그 서버안에서 웹서버냐 dbms이냐 따라서 포트번호가 다르므..
네트워크에서 DMZ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컴퓨팅과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기관들은 보안의 목적으로 패쇄 형태의 내부 네트워크 (LAN: Local Area Network)만 사용하여 각종 인트라넷이나 내부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엔 외부 네트워크로는 단절되어 웹 검색이나 이메일링, DNS 사용, FTP 등의 기본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다. 외부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별도의 네트워크 케이블링을 하여 물리적으로 내부/외부 다른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지만 매우 불편한 상황이 발생한다. 문제는 비단 사람뿐만 아니라 내부 IT 시스템들도 때로는 외부 네트워크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리눅스 운영체제, MySQL 등을 비롯한 각종 오픈 소스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설치하고 패치 파일 버전..
포트 포워딩이란? 과거에는 집에 보통 컴퓨터 한 대만 사용하고 스마트폰이 없었기 때문에 인터넷을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모뎀만 있으면 컴퓨터에 인터넷을 연결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가족 구성원 한 명마다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을 위해서 유무선 공유기가 하나씩은 다 있을 겁니다. 단순히 인터넷을 사용하기만 한다면 공유기는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하지만, 내가 어떤 서비스나 서버를 구축하게 된다면 공유기가 큰 문제가 됩니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인지 알아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포트 포워딩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공유기 – 사설 네트워크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아이피 (IP) 주소가 있어야만 합니다. 아이피는 고유한 값이기..
NAT 최신 총정리 끝판왕 최종보스!!! It's NAT Time!!! 1. NAT 너란녀석... 참 고맙다... 우리가 인터넷에서 사용할 수 있는 IP는 한정적입니다. 만약 NAT 기능이 없었다면 전 세계인구가 인터넷을 하려한다면 우리는 엄청난 비용을 지불하고 인터넷을 사용해야 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NAT가 있기에 우리는 그나마 IP에 제한을 받지 않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죠! NAT가 없었으면 정말... 참 고마운 녀석이죠... 오늘은 대표적으로 1:1 NAT와 N:1 PAT의 통신과정을 보면서 총 정리를 해볼까합니다. 그림을 보면서 쉽게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ㅎㅎ 2. 1:1 NAT 먼저 1:1 NAT입니다 1:1은 사설IP 1개당 공인IP 1개로 매칭시켜서 NAT를 시켜주..
1. 공인ip (public ip) 인터넷 상에서 서로 다른 pc끼리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ip로서 홈페이지 서버를 구축하던지 각자의 pc에 인터넷을 연결한다던지 등의 인터넷을 통한 통신을 하기 위한 ip이다. 공인ip는 각 나라들 마다 관리하는 기관이 있는데 우리 나라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ip 2. 사설ip (private ip) 내부 네트워크 상에서 각 컴퓨터간 통신을 하기 위한 ip로서 외부망인 인터넷과 연결이 되는 ip는 내부망을 구축할 때 활용하는 ip이다.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예는 공유기를 활용한 망구성이며 공유기를 활용해 망을 구성하면 보통 192.168.xx 로 구성되는데 이를 사설 ip라고 합니다. 사설 ip는 내부망에서만 사용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