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74)
IT 기획의 길

도메인이란? 앞서 우리가 인터넷에서 구글이나 네이버가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구글이나 네이버가 만든 웹 서버에 누구나 접속할 수 있도록 웹 서버의 공인 IP 주소를 인터넷에 공개했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다시 말해 서비스 이용자가 인터넷에 공개된 구글 웹 서버나 네이버 웹 서버의 공인 IP 주소를 웹 브라우저의 주소 창에 입력하면 구글이나 네이버의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공인 IP 주소 자세히 ⇒ IP 주소의 할당 하지만 구글이나 네이버의 웹사이트에 IP 주소를 입력하고 접속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대개는 다른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해서 검색 결과의 링크를 타고 웹 사이트를 방문하거나 www.google.com이나 www.naver.com 같은 형태의 영문 주소를 웹 브라..

IPv4 주소의 부족 인터넷 도입 초창기에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모든 호스트와 라우터에 고유한 IP 주소를 고정적으로 설정해야 했습니다. IP 주소를 할당하는 기관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지 못하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었습니다. IPv4 주소 체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는 약 43억 개입니다.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인터넷에 연결되는 컴퓨터와 라우터가 급속히 늘어나 IP 주소가 부족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모든 컴퓨터나 라우터에 고정적으로 고유한 IP 주소를 할당하는 것을 그만두고, 필요한 곳에 필요한 때에 필요한 수만큼 고유한 IP 주소를 할당하기 시작했습니다. IPv4 자세히 ⇒ IP 주소 예를 들어, 24시간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서버는 24시간 내내 IP 주소가 필요..

IP 주소 인터넷 계층의 IP 프로토콜은 IP 주소를 사용하여 호스트나 네트워크 장비를 식별합니다. 인터넷에 접속한 컴퓨터와 라우터에 고유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그 IP 주소를 사용해서 컴퓨터를 특정하거나 통신 상대방으로 지정합니다. 따라서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나 라우터의 IP 주소는 유일해야 합니다. 그래서 IP 주소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할당되어야 하므로 전 세계 인터넷 주소를 관리하는 인터넷할당번호관리기관*(IANA,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ority)에서 통합 관리하고 있습니다. *. 현재 인터넷할당번호관리기관은 ICANN(아이칸,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입니다. ..

인터넷 계층의 필요성과 라우터의 역할 앞서 살펴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의 역할은 어디까지나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된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의 기능으로 에서 직접 연결된 ①번과 ②번 컴퓨터 간에, ③번과 ④번 컴퓨터 간에는 통신이 가능하지만, 직접 연결되지 않은 ①번과 ④번 컴퓨터 간에는 통신이 불가능합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의 역할 자세히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과 이더넷 직접 연결된 컴퓨터의 범위를 넘어서 멀리 떨어진 컴퓨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필요한 계층이 인터넷 계층입니다. 인터넷 계층은 인터 네트워킹(Inter Networking, 즉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서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서로 다른 ..

TCP/IP 모델의 핵심인 IP 프로토콜과 TCP 프로토콜은 전 세계에 존재하는 수만 가지의 LAN을 연결하여 인터넷을 구축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규칙입니다. 전 세계를 연결하는 복잡한 네트워크인 인터넷에서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패킷 교환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TCP와 IP는 패킷 교환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CP와 IP대해 자세히 살펴보기 전에 TCP/IP의 기반이 되는 인터넷의 데이터 전송 방식인 패킷 교환 방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전송 방식 노드와 링크로 구성된 네트워크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전송 매체로 연결한 네트워크는 과 같이 노드와 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의 역할 앞서 살펴본 것처럼 TCP/IP 모델의 최하층에 위치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은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 기기 간에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전송 매체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나 전파 같은 물리적 신호가 도달하는 범위 내에서 데이터를 제대로 전송하기 위한 규칙을 정한 계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의 역할 자세히 ⇒ TCP/IP 계층의 특징과 역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에 속한 물리적인 네트워크 장비, 즉 하드웨어에는 랜카드(NIC), 스위치, 무선 AP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하드웨어를 랜 케이블 같은 전송 매체로 연결하여 데이터의 물리적 신호 전송이 가능한 유선 LAN이나 무선 LAN과 같은 물리 네트워크를 만듭니다. ..

TCP/IP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캡슐화와 역캡슐화를 거쳐 전송됩니다. 참조: TCP/IP 에서의 데이터 통신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터넷을 대표하는 웹 서비스에서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가 캡슐화와 역캡슐화를 거쳐 통신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의 통신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가 인터넷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는 전체적인 과정은 다음 과 같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웹 서버 컴퓨터와 웹 브라우저 컴퓨터는 각각 4개의 계층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각각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인터넷을 만드는 중간 노드인 라우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과 인터넷 계층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의 통신 웹 서비..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TCP/IP를 지원하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즉 호스트는 TCP/IP의 4 계층의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만 있으면 아무런 문제 없이 다른 종류의 호스트와도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호스트에 대해 자세히 => 노드, 호스트와 서버/클라이언트의 구별 통신은 원칙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양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호스트와 수신하는 호스트가 항상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에는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호스트가 되고, 서버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호스트가 됩니다. 반면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는 서버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호스트가 되고,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호스트가 되..

TCP/IP의 4 계층 인터넷의 핵심인 TCP/IP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의 역할에 따라 응용 계층, 전송 계층,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이라는 4개의 계층으로 구성됩니다. 크게 ①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 계층과 ② 전송된 데이터의 내용을 보고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계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참조: 인터넷의 핵심인 TCP/IP 응용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마다 개별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때문에 다른 계층과 달리 하나의 계층으로서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기보다 애플리케이션마다 별개로 존재하는 프로토콜들이 독자적인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계층의 특징을 설명하는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요건 네트워크는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유무선의 전송 매체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입니다(물리 네트워크). 이러한 물리적인 네트워크는 OSI 모델이나 TCP/IP 모델 같은 네트워크 설계도, 즉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따라 구현됩니다(논리 네트워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따라 프로토콜이라는 데이터 통신의 표준 규칙이 정해지고, 프로토콜의 사양에 따라 만들어지는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는 호환성을 갖고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결국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물리적인 기기들의 ① 하드웨어적인 연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규칙인 ② 프로토콜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참조: 물리 네트워크, 즉 네트워크의 하드웨어에 대해서는 '네트워크의 구성'에서, 논리 네트워크는, 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