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74)
IT 기획의 길
프린트 서버의 역할 프린트 서버는 여러 컴퓨터가 프린터를 공유 or NIC을 내장하지 않은 프린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버이다. 프린트 서버가 갖고 있는 편리한 기능 중 하나로 프린터 드라이버 배포가 있다. 프린트 서버에 여러 Window 버전의 프린터 드라이브를 사전에 설치하여 클라이언트의 OS환경에 따라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인스톨된다.
POP3 서버의 역할 메일 박스라는 사서함에 들어 있는 메일 데이터를 상대방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버가 POP3 서버이다.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메일을 전달하는 것은 SMTP 서버가 아니라 POP3 서버의 역할이다. POP3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내 메일을 달라’는 요청을 받으면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라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메일 데이터를 전송한다. 가장 마지막에만 POP3을 사용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SMTP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싶을 때에 송신하는 푸시형프로토콜이다. 푸시형 프로토콜은 항상 전원이 켜져 있는 서버에 대한 통신 or 서버 간 통신인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무척 편리하다. 하지만 메일 SW를 작동시키는 컴퓨터의 전원이 항상 ..
SMTP 서버의 역할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송신에 사용하는 SMTP 서버와 수신에 사용하는 POP3 서버가 있다. SMTP 서버는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라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메일을 송신 SMTP 서버는 메일 SW로부터 메일을 받으면 수신자 메일의 마크(@) 뒤에 적힌 도메인명을 보고 해당 도메인명으로 된 SMTP 서버를 찾는다. SMTP 서버를 찾을 때는 이름 해결에서 사용하는 DNS를 사용한다. DNS에 의해 해당 도메인명의 SMTP 서버의 IP주소를 알게되면 해당 IP 주소에 대해 메일 데이터를 송신한다. SMTP 서버라는 우체통에 편지를 넣으면 그 다음은 우체국이 배달해 준다. 메일 데이터를 받은 수신자의 SMTP 서버는 수신자 메일 주소의 마크..
파일 서버의 역할 파일 서버는 LAN, WAN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와 파일을 공유 or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버이다. 파일 서버를 사용하면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파일을 다룰 때 발생하기 쉬운 갱신 무결성 문제를 막을 수 있다. 파일 서버에서 중요한 설정은 바로 액세스 권한이다.
DHCP 서버의 역할 DHCP 서버는 네트워크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DHCP 클라이언트에게 배포하는 서버 컴퓨터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으로는 정적 할당과 동적 할당이 존재 정적 할당은 수동으로 IP 주소를 설정하는 방법 서버나 네트워크 기기 등 동일한 IP 주소를 계속 사용해야하는 기기에서 사용 동적 할당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대해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등과 같은 네트워크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배포하여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동적 할당으로 IP주소를 배포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DHCP를 사용하면 번잡한 IP 주소 관리를 편하게 사용 + 부족한 IP 주소를 활용
우리가 편지를 쓸때 우체통에 넣으면 보낸이의 동네 우체국에 모았다가, 다시 받는이가 사는 동네의 우체국으로 옮겨진 다음, 받는이에게 전해진다. 마찬가지로 이메일을 서로 주고받을때에도 이 우체국 역할을 해주는 곳이 필요하다. SMTP/POP3서버가 바로 우체국 역할을 하는 것이다. 편지를 보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메일을 보내면 우선 보내는 사람이 사는 동네 우체국인 SMTP 서버에 저장한다. SMTP는 우리가 E메일을 송수신 할때 쓰는 전송규약이다. 다음으로 SMTP서버에서 다시 받을사람의 POP3 서버로 보낸다. POP3는 SMTP서버에서 보낸 이메일을 읽어오는 프로토콜로, 즉, 받는이 동네의 우체국 역할을 한다. 이 POP3서버에서 수취인에게 배달된다. SMTP (Simple Mail Transfer ..
무선 연결이 출현하기 전에 컴퓨터 네트워크는 이더넷 케이블, 서버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일부인 나머지 컴퓨터 간의 케이블을 통한 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 문제는 높은 비용 이었지만 주요 이점은 보안이었습니다. 무선 네트워크의 출현으로 네트워크 설정 비용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어떤 종류의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에 케이블 네트워크와 달리 보안이 주요 문제입니다. 네트워크에 물리적으로 액세스하지 않고는 케이블 네트워크로는 할 수없는 일인 누구나 액세스를 시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케이블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에 액세스 할 수 없었기 때문에 회사 서버에 액세스 할 방법이 없었습니다. 인터넷은 수백만 명의 작업에서 기본적인 부분이되었으므로 대부..
먼저 공유기라는 것은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1개의 회선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등에서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며 테스크탑 PC는 유선, 무선, 유무선 공용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러한 인터넷 공유기는 정확하게 말하자면 인터넷 IP 주소 공유기라고도 부른다. 즉, 하나의 IP 주소를 여러 대의 컴퓨터가 공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도와주는것이다. ' 공유기 위의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공유기는 공인 IP 주소를 가상 IP 주소 ( 인터넷 -> 공유기 -> 컴퓨터)로 혹은 (컴퓨터 -> 공유기 -> 인터넷)으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네트워크 용어로 NAT(Network Address Transl..
얼마전 박성범 님의 깃헙에서 읽게 된 글, '인터넷이 동작하는 아주 구체적인 원리'를 보고 참 유익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보다 쉽게 많은 사람들이 읽기 편하도록 최대한 풀어서 써 보았습니다. '인터넷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엄청 궁금하긴 한데.. 바로 이해할 정도의 지식이 없어서 못알아 듣겠어...@-@' 라고 느끼신 분이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으로 제 기준 생소하거나 어렵거나 들어는 봤지만 개념이 확실치 않다고 생각되는 용어들을 네이버 지식 백과 및 여러 사이트에서 찾아 함께 써 보았습니다! 글을 읽다가, 뭔가 알쏠달쏭한 단어들을 따로 찾아보는 수고를 덜어주지 않을까 기대를 해 봅니다. *아래의 내용 중 ‘이 색으로 표시된 문장들은 모두 박성범’ 님의 글에서 발췌한 부분 입니다. ..
옛날에는, 컴퓨터에서 대부분의 자료저장을 하드디스크에서 하고 자료를 서로 주고받을때는 플로피 디스켓, CD, USB, SD CARD 등의 플래시메모리로 전송해줬습니다. 하지만 최근, 광통신과 인터넷, 그리고 심지어 기가인터넷과 5G까지 지원을해주면서 궃이 그런데 저장을 하고 전송을 해줘야하나..? 하는 생각이 사람들에게 들기 시작합니다. 그런 곳에서 시작을 한것이, 바로 클라우드 시스템입니다. 위에서 설명했듯 네이버 클라우드, 구글 드라이브, 드롭박스, 원드라이브 등등등... 수많은 대기업 회사들이 클라우드 시스템을 지원했죠. 하지만 사람들은 여기서 만족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거기서도 어느정도의 제약(인터넷 속도, 용량, 법적 문제 등)이 많이 있었었죠. 그렇게 해서 눈을 돌린게 바로 NAS(Netw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