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74)
IT 기획의 길
Database와 Storage의 차이점 대해서 알아보자 Database 데이터베이스는 체계적인 데이터 모음으로 데이터 저장 및 조작을 지원한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더욱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것이 데이터베이스 서버라고 생각하면 된다. Storage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으로, 하드디스크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다.(비휘발성 기억장치) 스토리지는 직접 서버에 연결할 수 있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리지용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도 있다. Storage에도 종류가 다양하며(DAS/NAS/SAN), 연결방식 등에 의해 구분된다. 스토리지는 하드웨어 기반의 장비이기 때문에 장비의 성능에 따라 혹은 안정성에 따라서 성능이 좌지우지된다. 차이..
AWS 스토리지 서비스 스토리지 타입 어떤 곳에 사용하는게 좋은가? Block Storage : 호스트에서 직접 파일을 액세스하고 기록하며 빠른 성능을 요하는 경우 File Storage : 여러대의 서비스들이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유에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 Object Storage :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는 앱 컨텐츠로 사용되어야 하거나 다수의 서버에서 해당 데이터에 접근 해야 하는 경우 File EFSObject S3Block EBS 퍼포먼스 작업별 대기 시간 낮음, 일관됨 낮음, 여러 요청 타입 처리, CloudFront와 통합 가장 낮음, 일관됨 처리량 크기 초당 GBs 초당 GBs 초당 GB 특성 가용성 / 내구성 (availability, durability) 여러 AZ에 중복 저장 여..
스토리지 시스템이란? 단일 디스크로 처리할 수 없는 용량을 저장하기 위해 디스크를 묶어서 논리적으로 사용하는 기술 스토리지 구성은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방법 왜 필요한가? 데이터의 양적 팽창이 급증함에 따른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 및 관리 필요 기업의 정보(Information) 자원을 이용한 새로운 비지니스의 창출 ERP, DW, Data Mining 등의 Application 등장 스토리지 시스템의 요구조건 통합 관리를 통한 대용량, 고속 데이터 처리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 (공유, 분배, 보안 강화) 확장성, 유연성, 서버 접속의 용이성 스토리지 시스템 종류 스토리지 시스템 종류 DAS(Direct-attached storage) 서버와 저장 장치를 직접 연결 NAS (Network attach..
VPC VPC 란? ( Virtual Private Cloud ) 독립된 가상의 클라우드 네트워크 AWS는 사용자에 따라 네트워크 환경을 직접 설계할 수 있음 IP대역, 인터페이스,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인터넷 게이트웨이, 보안그룹, 네트워크 ACL등을 생성하고 제어할 수 있음 VPC의 종류 기본 VPC 리전 별로 1개씩 생성되어 있으며 VPC 내에 AWS 리소스가 미리 정해져 있음 사용자 VPC 사용자가 수동으로 생성해야함 최대 5개 까지 만들 수 있음 VPC의 특징 확장성 손쉽게 VPC 자원을 생성, 삭제 가능 보안 인스턴스 레벨과 서브넷 레벨에서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음 보안그룹과 네트워크 ACL을 통해 보안 강화 가능 사용자중심 네트워크 지표 및 모니터링 툴을 활용하여 사..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는 서버를 데이터베이스 서버(DB 서버)라고 하며 DBMS는 데이터베이스라는 데이터의 집합을 만들고 저장 및 관리까지 할 수 있는 기등들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즉 데이터의 관리에 특화된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종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서버까지 지원하기도 한다. DBMS의 종류 : Oracle, MySQL, MariaDB 네이버에 로그인한다고 가정했을때 네이버 웹 브라우저(웹 클라이언트)에서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네이버 웹서버를 통해서 DB연결자를 거치고 네이버 DB서버에 접속해서 네이버 회원 테이블을 찾아본 결과 정보가 같으면 로그인이 허용되고 같지 않으면 로그인이 허용되지 않는다. 웹서버와 DB서버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개발툴(Visaul C#, Java, Vi..
가상머신(Virtual Machine) : 가상 머신을 사용하면 현재 사용하는 Windows를 변경 없이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여러대의 Windows Server를 운영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가상머신 소프트웨어 : 진짜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호스트 OS)안에 가상의 컴퓨터를 만들고 그 안에 또 다른 운영체제(게스트 OS)를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제작된 소프트웨어 진짜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윈도우 -> 호스트 운영체제(게스트 OS) 가상머신에 설치된 윈도우 -> 게스트 운영체제(게스트 OS) 가상머신을 쉽게 가짜 컴퓨터로 생각해도 좋다. 원래는 CPU, RAM, 하드디스크 등이 있는 진짜 컴퓨터에만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는데 가상머신 프로그램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가짜 CPU, 가짜 RAM, 가짜..
SSL이란 무엇인가요? SSL(Secure Sockets Layer)은 암호화 기반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입니다. 인터넷 통신의 개인정보 보호, 인증,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Netscape가 1995년 처음으로 개발했습니다. SSL은 현재 사용 중인 TLS 암호화의 전신입니다. SSL/TLS를 사용하는 웹사이트의 URL에는 "HTTP" 대신 "HTTPS"가 있습니다. SSL/TLS는 어떻게 작동합니까? SSL은 높은 수준의 개인정보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웹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가로채려는 자는 거의 해독할 수 없는 복잡한 문자만 보게 됩니다. SSL은 두 통신 장치 사이에 핸드셰이크라는 인증 프로세스를 시작하여 두 장치의 ID를 확인합니다. SSL은 또한 데이터 ..
EC2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 AWS 컴퓨팅 서비스 중 하나 EC2 - 확장 가능한 서버(컴퓨터) 제공 Elastic Beanstalk - PaaS 형태의 서비스 제공 Lambda - serverless 컴퓨팅 서비스 제공 Amazon EC2를 사용하면 하드웨어에 선투자할 필요가 없어 더 빠르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음 Amazon EC2를 통해 원하는 만큼 가상 서버(=인스턴스 Instance)를 구축하고 보안 및 네트워크 구성과 스토리지 관리가 가능 또한 Amazon EC2는 요구 사항이나 갑작스러운 인기 증대 등 변동 사항에 따라 신속하게 규모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어 서버 트..
AWS 글로벌 인프라 글로벌인프라 https://aws.amazon.com/ko/about-aws/global-infrastructure/ 25개의 리전 80개의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 - AZ) 한국은 가용영역 4곳 5개의 local Zone과 13개의 Wavelength Zone 245개의 국가와 지역에서 서비스 제공 각 리전은 이중화된 100G 케이블(해저 광케이블)로 연결 및 암호화 AWS 글로벌 인프라 맵 https://aws.amazon.com/ko/about-aws/global-infrastructure/regions_az/ 해저케이블맵 https://www.submarinecablemap.com/ aws 가 이렇게 많은 리전과 가용영역을 가지는 이유? 거리에 따른 지연 레..
AWS 클라우드 소개 AWS 란? 클라우드에서 매우 안정적이고 저렴한 확장형 인프라 플랫폼을 제공하여 전 세계 190개국에 있는 수천 개의 비즈니스 운영을 지원하는 서비스 https://www.youtube.com/watch?v=1Ddvg2dH4PE&t=896s AWS 솔루션 포트폴리오 https://aws.amazon.com/ko/solutions/ AWS 플랫폼을 사용하여 공통된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빠르게 구축할 수 있도록 예시를 지원 AWS 서비스 포트폴리오 EC2 Virtual Machine 재구성이 가능한 컴퓨팅 리소스 쉽게 확장/축소되는 컴퓨팅 용량 고객 업무 영역에 따른 다양한 인스턴스 타입 제공 사용한 만큼만 과금 Auto Scaling 서버 자동 확장/축소 서버 최대용량이 너무 크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