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74)
IT 기획의 길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Hybrid Cloud ) ▶ 클라우드는 그 서비스 형태에 따라 1. 퍼블릭( Public Cloud ) 2.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 3. 프라이빗 클라우드 ( Pivate Cloud ) 4. 커뮤니티( Community Cloud )로 나뉘어저 있습니다. ▶ 이번에는 그 중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Hybrid Cloud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 Public Cloud )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 Pivate Cloud )를 결합하여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으로, 하이브리드 컴퓨팅은 컴퓨팅 및 처리 요구가 변동될 때 타사 데이터 센터에서 데이터 전체에 엑세스하지 않고도 온-프레미스 공용 클라..
프라이빗 클라우드 ( Private Cloud ) ▶ 클라우드는 그 서비스 형태에 따라 1. 퍼블릭( Public Cloud ) 2.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 3. 프라이빗 클라우드 ( Pivate Cloud ) 4. 커뮤니티( Community Cloud )로 나뉘어저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 중 프라이빗 클라우드 ( Private Cloud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프라이빗 클라우드란 기업이 직접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기업 내부에서 활용하거나 또는 계열사에 공개하는 것을 뜻합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개념 ▶ 외부 클라우드 사업자의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를 직접 구축한다는 점에서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자체 인프라 구축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Public Cloud ) ▶ 클라우드는 그 서비스 형태에 따라 1. 퍼블릭( Public Cloud ) 2.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 3. 프라이빗 클라우드 ( Pivate Cloud ) 4. 커뮤니티( Community Cloud )로 나뉘어저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 중 퍼블릭 클라우드 ( Public Cloud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퍼블릭 클라우드( Publci Cloud )란 외부 클라우드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우리가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서비스 형태입니다. 즉 서비스를 위한 모든 인프라를 클라우드에서 제공받는 것으로 자체 인프라가 없거나 부족한 스타트업, 중견기업이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퍼블릭 클라우..
1. 클라우드란? 클라우드는 인터넷을 통해서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때 원하는 만큼의 IT 리소스(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종류 사용자의 관리 영역에 따라 구분 IaaS IT 인프라(서버, 스토리지) 등의 하드웨어를 서비스로 제공 정리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가상 호스팅(VM Hosting)과 비슷하나 처음에 말했다시피, 가상 호스팅은 우리가 직접 장비를 사서 그 장비의 한에서 자원을 할당하고 구성해야 하지만, IaaS는 기업이 준비해놓은 환경에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적은 OS가 지원됩니다. (아마존은 일부 Linux와 Windows Server 제공) 고객은 OS와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관리해야 합니다. 관리 ..
DNS 서버? -> 해당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버 도메인 주소를 DNS 서버에 등록되지 않으면 일일히 IP주소를 쳐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해야 한다. 따라서 ex) naver.com -> 128.162.242.38 ( 실제 ip 주소가 아닙니다. 예시입니다.) 와 같이 DNS 서버에 등록을 해야지 URL창에 naver.com을 입력하면 네이버에 접속가능하고 등록하지 않으면 일일히 128.162.242.38을 쳐야지 네이버에 접속할 수 있다. 내부DNS 서버란? -> 사내(내부망)에서만 쓰이는 인터넷 사이트의 도메인 주소를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버 내부DNS에서 설정된 사내 사이트만 vpn을 통해서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다. 외부DNS 서버란? -> 외부에서의 접속을 허용하는 인터넷 사..
[출처]: 플랜김 [애플로 하는 IT기획] 시스템 구축 프로세스의 이해 기업의 IT 시스템 구축은 기업규모나 사업분야별로 차이가 있으나, 시스템 구축의 기본전략은 현업 업무의 효율화 및 데이터 신뢰성과 투명성 그리고 선진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위하여 도입하여야한다. 또한 기업의 업무 시스템은 IT팀의 운영 입장보다는 실질적인 시스템을 사용하는 현업 중심의 시스템 구축을 하여야만 구축 후에도 후회없는 시스템 사용으로 인한 효율성이 증대 될 것 입니다. 기업에서의 시스템 구축 프로세스는 도입되는 시스템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그리고 솔루션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전체적인 흐름은 아래와 비슷합니다.) 시스템 구축의 11단계 프로세스는 국내..
TQM이란? TQM은 기업이 상품의 품질과 소비자 만족 두 가지 모두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법이다. TQM의 목적은 고객에게 질 좋은 제품을 낮은 가격에 제공하는 것인데, 품질을 높이고 가격을 내림으로써 회사의 이익과 성장의 증가를 목표로 한다. TQM에는 지속적으로 조직을 개선하기 위한 철학과 원칙들이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1. 경영자의 혁신 및 참여(TOP's committed and involved management) TOP(경영진)은 반드시 품질 프로그램에 참여해야한다. 경영진이 직접 실행하고 관리하지 않는다면 TQM은 실패할 것이다. 최고경영자와 임원들은 이루어야 할 분명한 비전과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고,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의 품질 협의회(Quality council)를 구성해야..
운영체제란?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모임입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커널이란? 컴퓨터와 전원을 켜면 운영체제는 이와 동시에 수행된다. 한편 소프트웨어가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되기 위해서는 메모리에 그 프로그램이 올라가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운영체제 자체도 소프트웨어로서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메모리에 올라가야 한다. 하지만, 운영체제처럼 규모가 큰 프로그램이 모두 메모리에 올라간다면 한정된 메모리 공간의 낭비가 심할것이다. 따라서..
OS의 가상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의 차이점 메모리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하드웨어 장치입니다. 이 기사에서는 가상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의 차이점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캐시 메모리 는 데이터의 액세스 시간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고속 메모리입니다. 다른 한편, 가상 메모리 는 정확히 물리적 메모리 가 아니며 주 메모리의 용량을 한도를 초과하는 기술입니다. 가상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면 주 메모리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지만 캐시 메모리 는 최근에 사용한 데이터에 더 빨리 액세스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래 비교 차트의 도움으로 몇 가지 차이점에 대해 논의 할 것입니다. 비교 차트 비교의 근거 가상 메모리 캐쉬 메모리 기본 가상 ..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RAC와 HA라는 말을 듣게 되었다. 개발 지식 및 상식은 없다시피한 초보 코더라서 그 자리에서는 못알아들었지만 그저 웃으며 고개를 끄덕였다. DB 관련 용어라 앞으로도 많이 마주할 것 같아 이렇게 따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블로그에 있는 나의 대부분의 글들이 그러하듯 이 글 역시도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내용을 내 입맛대로 짜깁기 한 것이라 매우매우 부정확한 내용임을 미리 경고해둔다. HA와 RAC 모두 DB 서버의 구성에 관한 것이고, 고가용성을 위해 만들어진 구성이라는 것 처음 RAC와 HA를 들었을 때, 완전히 다른 두 개념인 줄 알았다. 하지만 조금 찾아보니, HA 구성이 먼저 나왔고 HA에서 몇가지를 보완한 것이 RAC라는 것을 알았다(아, 물론 RAC 이전에 OPS라는 것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