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인프라/네트워크 (58)
IT 기획의 길

옛날에는, 컴퓨터에서 대부분의 자료저장을 하드디스크에서 하고 자료를 서로 주고받을때는 플로피 디스켓, CD, USB, SD CARD 등의 플래시메모리로 전송해줬습니다. 하지만 최근, 광통신과 인터넷, 그리고 심지어 기가인터넷과 5G까지 지원을해주면서 궃이 그런데 저장을 하고 전송을 해줘야하나..? 하는 생각이 사람들에게 들기 시작합니다. 그런 곳에서 시작을 한것이, 바로 클라우드 시스템입니다. 위에서 설명했듯 네이버 클라우드, 구글 드라이브, 드롭박스, 원드라이브 등등등... 수많은 대기업 회사들이 클라우드 시스템을 지원했죠. 하지만 사람들은 여기서 만족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거기서도 어느정도의 제약(인터넷 속도, 용량, 법적 문제 등)이 많이 있었었죠. 그렇게 해서 눈을 돌린게 바로 NAS(Networ..

안녕하세요! 오늘은 SSL VPN을 들고 온 런잇 입니다. 아주 추운 겨울날 호빵을 먹던 중 긴급하게 처리해야 할 일이 있는데! 자료가 회사에 있으시다구요?? 추운데 회사까지 가야하나... 회사까지 가야하나 걱정 하시는 분들 여기로 모이세요! 이것 하나면 모든 것을 해결 할 수 있습니다. 1. SSL VPN의 특징 SSL VPN 이란 백과사전에서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장소나 단말의 종류와 관계없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SSL 기반의 가상 사설망(VPN). SSL은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통신에서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도중에 해킹을 통해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정보의 내용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보안 솔루션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SSL VPN은 원격지에서 인터넷으로 내부 시스템..

HTTP란?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인 HTML로 만든 웹페이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즉,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통신하는 절차와 형식을 규정한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HTTP는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게 웹 페이지를 요청(리퀘스트, Request)하는 방식과 웹 서버가 웹 브라우저에게 응답(리스폰스, Response)하는 방식을 정합니다. HTTP 통신은 반드시 웹 브라우저의 요청이 있어야 시작됩니다. 웹 서버가 요청을 받지 않고 응답을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HTTP 메시지 응용 계층의 데이터 단위는 메시지(Message)입니다. 응용 계층에서 HTTP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전송하는 데이터 단..

월드 와이드 웹의 3대 요소 보통 인터넷과 동일시할 정도로 인터넷을 대표하는 서비스가 된 웹(WWW)은 1989년 팀 버너스 리가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동료들과 함께 개발하여 1990년 12월 25일 구현된 최초의 웹을 시작으로 발전한 것입니다. 웹(WWW) 자세히 ⇒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 팀 버너스 리가 웹을 개발하면서 정의한 세 가지 주요 기술은 HTML, URL, HTTP입니다.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를 사용한 웹은 HTML이란 언어로 만든 웹 페이지를 웹 서버에 저장하고, 다수의 웹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게 웹 페이지를 보여 달라고 요청하는 단순한 시스템입니다. 팀 버너스 리는 웹 페이지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URL로 표시하고,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가 웹 페이지를 주고받는 방..

응용(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특징과 애플리케이션 TCP/IP 모델의 4 계층 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 계층이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고, 응용 계층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만들거나, 수신한 데이터의 내용을 보고 그에 맞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한마디로 통신의 목적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서비스의 종류나 동작 방식 등을 결정하는 것이 응용 계층의 역할입니다. 따라서 응용 계층의 역할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요청하고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구현합니다. TCP/IP 4 계층의 역할 자세히 ⇒ TCP/IP 계층의 특징과 역할 서버와 클라이언트 자세히 ⇒ 서버/클라이언트와 웹 서비스 따라서 응용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

TCP 프로토콜의 기능과 특징 전송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TCP는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연결형 통신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연결형 통신 자세히 ⇒ 전송 계층과 포트 번호 TCP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패킷(패킷 교환 방식의 패킷을 의미합니다)이라는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분할하고, 패킷의 전송 속도를 조절하며, 패킷이 수신지까지 제대로 전송되는지 확인합니다. 인터넷 계층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전송되는 패킷은 네트워크의 혼잡도와 라우팅에 따라 송신되는 순서와 수신되는 순서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전송 계층의 TCP는 모든 패킷이 수신지에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하고 수신한 데이터의 순서를 송신한 순서대로 재설정하여 패킷들을 재조립함으로써 전체 데이터가 올바르게 전송되도록 합..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의 역할 앞서 살펴본 것처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과 인터넷 계층의 역할로 수신지 컴퓨터까지 데이터를 보낼 수 있습니다. 특히 인터넷 계층의 IP 프로토콜은 수많은 네트워크가 복잡하게 얽힌 인터넷에서 수신지 컴퓨터까지 경로를 찾아 패킷을 전송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터넷 계층이 패킷 전송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수신지까지 최적의 경로를 찾아 패킷을 전송할 뿐 수신지 컴퓨터가 인터넷에 존재하는지, 수신지 컴퓨터가 존재하더라도 패킷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패킷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더라도 전송 과정에서 패킷이 손상되거나 유실되지는 않았는지 등의 문제들은 신경 쓰지 않습니다. 즉, IP 프로토콜은 통신하는 호스트 간에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최선의..

도메인이란? 앞서 우리가 인터넷에서 구글이나 네이버가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구글이나 네이버가 만든 웹 서버에 누구나 접속할 수 있도록 웹 서버의 공인 IP 주소를 인터넷에 공개했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다시 말해 서비스 이용자가 인터넷에 공개된 구글 웹 서버나 네이버 웹 서버의 공인 IP 주소를 웹 브라우저의 주소 창에 입력하면 구글이나 네이버의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공인 IP 주소 자세히 ⇒ IP 주소의 할당 하지만 구글이나 네이버의 웹사이트에 IP 주소를 입력하고 접속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대개는 다른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해서 검색 결과의 링크를 타고 웹 사이트를 방문하거나 www.google.com이나 www.naver.com 같은 형태의 영문 주소를 웹 브라..

IPv4 주소의 부족 인터넷 도입 초창기에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모든 호스트와 라우터에 고유한 IP 주소를 고정적으로 설정해야 했습니다. IP 주소를 할당하는 기관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지 못하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었습니다. IPv4 주소 체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는 약 43억 개입니다.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인터넷에 연결되는 컴퓨터와 라우터가 급속히 늘어나 IP 주소가 부족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모든 컴퓨터나 라우터에 고정적으로 고유한 IP 주소를 할당하는 것을 그만두고, 필요한 곳에 필요한 때에 필요한 수만큼 고유한 IP 주소를 할당하기 시작했습니다. IPv4 자세히 ⇒ IP 주소 예를 들어, 24시간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서버는 24시간 내내 IP 주소가 필요..

IP 주소 인터넷 계층의 IP 프로토콜은 IP 주소를 사용하여 호스트나 네트워크 장비를 식별합니다. 인터넷에 접속한 컴퓨터와 라우터에 고유한 IP 주소를 할당하고, 그 IP 주소를 사용해서 컴퓨터를 특정하거나 통신 상대방으로 지정합니다. 따라서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나 라우터의 IP 주소는 유일해야 합니다. 그래서 IP 주소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할당되어야 하므로 전 세계 인터넷 주소를 관리하는 인터넷할당번호관리기관*(IANA,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ority)에서 통합 관리하고 있습니다. *. 현재 인터넷할당번호관리기관은 ICANN(아이칸,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입니다. ..